안경과시력,눈건강

드림렌즈의이해,드림렌즈의부작용단점과장점,가격,

절반만폭탄 2013. 9. 17. 04:30

드림렌즈 말 그대로 꿈의 렌즈라고한다.

일반적으로 시력이 나쁜 사람들이

이 렌즈를 착용하게되면

시력이 좋아진다고 알고 있는대,

이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콘텍트 렌즈를 착용함으로써

일시적인 효과는 기대할 수있지만

렌즈를 착용하지 않으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기 떄문이다.

어린이의 근시진행억제를

목적으로 판매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성인도 착용할 경우

일시적인 시력개선 효과를 볼수있다



이러한 근시진행억제 렌즈는

가벼운 근시가 있는 사람의

각막에 역기하 디자인의 특수 콘택트렌즈를

일정 시간 적용하여 수술 없이

각막의 형태를 변화시켜

근시를 조정 또는 교정하는 시술 방법이다.

각막의 일정 부분을 절삭해서

시력을 교정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굴절 수술과는 달리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각막의 중심부를 눌러줌으로써

근시를 교정하게 된다.



 


자기 전에 렌즈를 착용하고 아침에 렌즈를 제거하며

자는 동안 편평해진 각막에 의해 낮 동안

좋은 시력을 유지할 수 있는 시력 교정 방법이다.

성인보다는 각막의 탄력성이 좋은

어린 나이에 유지 효과가 좋으며 렌즈 제거 후 

각막의 모양은 원래대로 돌아가기 때문에

한 번 생긴 근시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다.

렌즈의 종류는 제조사에 따라 다양하다.

콘텍스 오케이 렌즈, 파라곤 씨알티 100 렌즈, 엘케이 렌즈,

에메랄드 렌즈, 미라클 렌즈, 드림 렌즈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드림렌즈나 엘케이 렌즈가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것으로 알고있다.

가격은 80~100만원 선으로 고가의 콘텐트 렌즈이다



기존에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던 환자의 경우,

소프트렌즈는 1주일 정도,

하드렌즈는 3주일 정도 착용을 중지한다.

여러 가지 사전 검사를 통해

렌즈 착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환자의 눈에 맞는 렌즈가 결정된 후

약 1시간 동안 착용하여 시력개선효과를 확인한다.

렌즈 착용 후 적어도 1주일 정도 지나야

최대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렌즈 착용법과 빼는 법, 렌즈 사용 시 주의 사항,

렌즈의 세척 및 보존 관리 방법 등에 대해

철저히 배우고 이를 따른다.



 


렌즈 착용 중 또는 착용 후 통증, 충혈, 시력 저하,

눈부심,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렌즈 착용을 중지하고 안과를 찾아 검진을 받도록 한다.

하드 렌즈와 비숫하여 초기 딱딱한 렌즈 재질에 의한

이물감이 있을 수 있다.

착용 당일, 첫째 날, 1~2주 후, 1개월 후, 3개월 후,

이후 3~6개월마다 정기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렌즈의 흠집이나 파손, 변형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시술 후 일반 콘택트렌즈와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렌즈의 수명은 보통 2년 내외이며

정기적인 검진과 함께 교체가 필요하다.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근시와 난시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교정 효과는 떨어진다.


역기하 렌즈에 의한 시력 교정을 최대로 얻기 위해서는

8시간 이상의 충분한 착용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8시간 이상의 충분한 수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각막의 정중앙에 렌즈가 맞추어졌을 때 

최대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수면을 취할 때 

옆으로 눕거나 엎드려 자는 것보다는

똑바로 자는 것이 교정 효과가 좋다.

아침에 렌즈를 뺄 때는

인공눈물을 한두 방울 정도 떨어뜨린 후

 4~5분 경과한 후 렌즈를 빼면

각막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반 하드렌즈의 관리 요령을 따르는 것이 필요하다.

드림렌즈가 모든 사람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렌즈를 착용하지 않게되면

시력은 원래대로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이러한 렌즈들의 효과에

회의적인 반응을 갖고있는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렌즈 종류들도 콘텍트 렌즈이기 때문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으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100 % 효과를 장담할수는 없을 듯합니다.

한번 구입한 렌즈는 교환이나 환불이 불가능하니,

신중하게 생각해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저 역시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드림렌즈에 관해  좀 더 정확히 알고싶으시다면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written  by  절반만폭탄